카테고리 없음

한국사능력검정시험(심화) D-1 헷갈리는 부분 최종정리 (개항기~일제강점기)

여 백 2020. 9. 18. 16:02
반응형

 

일제강점기 국내외 저항

 

1910's

국내 : 신민회(~11. 105인사건으로 해체), 독립의군부(복벽주의, 임병찬, 전라도), 대한광복회(공화정, 박상진, 대구)

3.1운동 (고종 인산일, 파고다 공원, 제암리 학살사건, 중국 5.4 운동, 대한민국 임시 정부)

 

** 이재명 -> 이완용 암살 시도 (1909, 명동성당)

 

 

국외

- 서간도(남만주) : 경학사(이회영) -> 신흥강습소 -> 신흥무관학교 -> 서로군정서

 

- 북만주 : 중광단(대종교) -> 서전서숙(이상설), 명동학교(김약연) -> 북로군정서(김좌진)

*북로군정서 -> 청산리대첩으로 연결

 

- 연해주 : 신한촌(블라디보스톡 한인), 권업회(권업신문)

 

- 상하이 : 신한 청년당(여운형,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 파견)

 

- 미주(샌프란시스코) : 대한인 국민회(안창호, 이승만)

 

- 멕시코 : 숭무학교 

 

- 도쿄 : 2.8 독립선언

 

 

 

1920's

국내 : 형평운동(백정, 조선형평사, 진주), 어린이 운동(천도교, 방정환), 여성운동(근우회), 6.10만세운동(순종 인산일, 신간회 창설), 광주학생항일운동(신간회가 진상 조사단 파견 이후 해소), 조선어연구회(<한글>, 가갸날 제정)

"조선인 조선 것. 내 나라 내 것." 물산장려운동(평양, 조만식, 자작회, 토산 장려 부인회)

암태도 소작 쟁의, 원산 총파업 (프랑스, 러시아 지지)

 

**1920's 물산장려운동과 1907년 국채보상운동 혼동하지 말 것. 국채보상운동은 대구 서상돈. 대한매일신보 지지.

 

국외 : 봉오동 전투(홍범도, 대한독립군), 청산리 전투(김좌진, 북로군정서) -> 간도참변 -> 자유시참변 -> 3부 결성(참, 정, 신) -> 3부 통합 운동 (북만주 : 혁신의회 / 남만주 : 국민부) 

 

** 이후 혁신의회는 한국독립당(군) 지청천 / 국민부는 조선혁명단(군) 양세봉

지청천이 이끄는 한국독립군은 쌍성보, 사도하자, 대전자령 전투 승리

양세봉이 이끄는 조선혁명군은 영릉가, 흥경성 전투 승리 

 

 

 

의열단 (1920's활동, 비밀결사단체, 신채호 <조선 혁명 선언>)

- 김원봉 : 의열단 수장, 의열단 활동에 한계를 느끼고 항푸 군관학교에서 스스로 군사훈련, 조선혁명간부 학교를 설립, 1930's 후베이성에서 조선의용대 창설

 

**이후 조선 의용대는 두 가지로 분열

  조선의용대(충칭) -> 대한민국 임시정부 광복군(42)

  조선의용대(화북) -> 조선인민군 -> 북한 인민군

 

의열단원 

- 나석주 : 동양척식주식회사, 식산은행 폭탄 투척

- 김상옥 : 종로경찰서 폭탄 투척

- 김익산 : 조선총독부 폭탄 투척

 

 

 

한인애국단 (1930's활동, 상하이)

- 김구 : 한인애국단 창설

- 윤봉길 : 훙커우 공원 폭탄 -> 장제스 극찬(2억 중국인이 하지 못한 걸 한 사람 한국인이 해냈다.)

- 이봉창 : 일본 국왕 히로이토 폭탄, 중국 <국민일보> 대서특필 -> 상하이사변

 

**안중근 의사는 의열단원인가? No.

의열단 창립은 1919년. 안중근 의사 사망년도 1910년. 이토 히로부미 암살 1909년.

 

日 “왜 이토 히로부미를 죽였소?”

“그 전에 알고 싶은 것이 있소. 이토는 틀림없이 죽은 것이오?”

日 “틀림없이 죽었소. 이제 내 질문에 대답하시오. 왜 이토를 죽였소?”


“내가 이토를 죽인 이유는 이토가 열다섯 가지 죄를 지었기 때문이오. 첫째는 대한 제국의 명성 황후를 죽인 죄요, 둘째는 고종 황제를 강제로 물러나게 한 죄요. ······넷째는 죄 없는 한국인4)을 무수히 죽인 죄이며, 다섯째는 대한 제국의 정권을 강제로 빼앗아 통감 정치 체제5)로 바꾼 죄이고, ······열네 번째, 대륙을 침략하여 동양의 평화를 깨뜨린 죄이며, 열다섯 번째 죄는 일본 천황의 아버지를 죽인 죄요. 그러니 어찌 그자를 죽이지 않을 수 있겠소?”

 

 

 

 

1930's 이후

 

국내: 조선어학회(조선어 연구회 계승, 맞춤법 통일안, 표준어, 우리말 큰사전), 민족주의(정인보), 실증주의(진단학회), 유물사관(백남운), 동아일보의 브나르도 (농촌계몽) 운동

 

국외 : 한중연합작전

지청천의 한국독립당(군) - 쌍성보, 사도하자, 대전자령 전투 승리 + 중국 호로군

양세봉의 조선혁명단(군) - 영릉가, 흥경성 전투 승리 + 중국 의용군

김원봉 조선의용대(38년 창설) -> 충칭에서 한국광복군 합류(42)

 

한국광복군? 1940년 김구가 충칭에서 창설. -> 인도 미얀마 투입(43) -> 국내 진공 작전 -> 일본 항복으로 무산

** 국내 진공 작전? 임시정부 주석 김구가 미국의 OSS책임자와 협의한 한미 간 공동작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