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 년 & 교 육

한국사능력검정시험(심화) D-1 헷갈리는 부분 최종정리 (삼국~조선)

여 백 2020. 9. 18. 14:48
반응형

 

 

유향소, 서원, 향악의 차이점

 

- 서원 : 조선 건국때 반대했던 온건파 사대부들이 향촌(시골마을)으로 내려가 지은 학교. 후학 양성. 유학(공자), 성리학(주자), 성리학을 들여온 안향(고려 말) 등의 위패를 모셔 제사+교육.

16c부터 사림 세력이 커지며 서원 부패. -> 훗날 영조, 흥선대원군이 서정리. (특히 흥선대원군은 600여개의 서원을 47개로 강제 철폐)

 

**사액서원 : 국가에서 인정한 서원으로 국가지원 및 면세. 훗날 늘어남. (최초의 사액서원 : 이황의 소수서원 / 주세붕의 백운동서원)

 

- 유향소 : 지방자치기구. 수령 보좌. 향리 감찰. 향촌(마을)의 풍속 교정. 

벼슬에서 은퇴한 人 지방을 단속하고 향리를 감찰하는 우두머리로 지정. 

 

- 경재소 : 현직 관료가 연고지의 유향소 관리. (ex. 마산 출신의 현직 관료가 마산의 유향소를 관리하는 격)

중앙과 지방의 연락 가능.  중종때 조광조가 훈구세력 척폐를 위해 유향소, 경재소 철폐와 항약 보급을 주장함. -> 결국 기묘사화로 좌절.

 

- 향약 : 향촌을 교화하는 약속. 향촌사회 농민들의 토지 이탈을 막고, 공동체적으로 결속시킴으로써 체제의 안정을 도모하려는 목적. 

조선후기 이황, 이이 《여씨향약()》 : 좋은 일은 서로 권하고, 잘못은 서로 바로잡아주며, 예속을 서로 권장하고, 어려운 일이 있으면 서로 도와준다. 

 

-----> 다 조선.

 

고려때 만들어진 건 향도. 향도란 향촌의 불교신도들의 종교 조직. 숭유억불로 조선시대때 미미하게 존재했으나 16C 사림들의 향약에 의해 편입 흡수됨.

 

 

 

 

이C들의 난

 

- 이시애의 난 (조선, 세조)

 

- 이괄의 난 (조선, 인조) :  광해군을 몰아내는 인조반정에 공을 세웠는데 인정 안해줘서 난을 일으킴. 후금으로 도망가며 남침 종용. 훗날 정묘호란의 원인.

 

- 이인좌의 난 (조선, 영조) : 소론+남인이 일으킨 난. 영조 즉위에 문제를 삼음. 경종 급사 원인이 뭐냐! 영조 혈통에 문제가 있다! 

 

- 이자겸의 난 (고려, 인종) : 금 사대 -> 사대ㄱㄱ(이자겸) VS 절대ㄴㄴ(왕 측근) -> 문벌귀족 이자겸 기세등등. -> 내가 왕 될래! -> 그러나 척준경의 배신으로 유배지에서 die. 

 

**금 사대요구 - 이자겸의 난 -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을 거치며 문벌귀족이 분열. 무신정변에 의해 붕괴.

 

**서경천도운동? 묘청(서경천도, 칭제건원, 금정벌) VS 김부식 (금 사대, 보수적)

who is 김부식 : <삼국사기> 걔.

 

 

 

 

각 시기별 최고회의기구

 

- 고구려 : 제가회의 (상가, 고추가...)

- 백제 : 정사암회의

- 신라 : 화백회의 (만장일치제)

- 고려 : (전기) 중서문하성 (2성6부中) ->  (후기) 도병마사 (-> 원 간섭기, 도평의사사)

- 조선 : (전기) 의정부 -> (후기) 비변사

 

**비변사(중종, 삼포왜란) 임시기구 -> 비변사(선조, 임진왜란) 상설기구. (정치+군사) 훗날 19c 세도정치에 의해 부패기구화.

 

 

 

 

 

각 시기별 교육기관

 

- 고구려 : 태학 (소수림왕)

- 통일신라 : 국학 (신문왕)

- 발해 : 주자감 (당나라와 비슷)

- 고려 : 국자감 (성종) / 사학12도 (사교육)

- 조선 : 성균관

 

 

 

 

 

각 시기별 지방행정체제

 

- 통일신라 : 9주 5소경

- 발해 : 5경 15부 62주

- 고려 : 12목(성종, 지방관) -> 5도 양계(현종, 안찰사)

- 조선 : 8도(관찰사)

 

지방 관리 명칭은 도독(신라) -> 안찰사(고려) -> 관찰사(조선) 식으로 수없이 변화. 현재의 도지사.

 

 

 

 

각 시기별 군사조직

 

- 통일신라 : 9서당 10정

- 발해 : 10위

- 고려 : 중앙 2군6위 / 지방 주진군, 주현군 / 특별군 별무반(여진), 삼별초(몽골)

- 조선 : 중앙 5위(조선전기) -> 5군영(조선후기) / 지방 속오군

 

** 5위에서 5군영? 임진왜란으로 인한 훈련도감 설치. 훈련도감은 직업군인.

훈련도감(삼수병), 어영청, 총융청, 수어청(인조, 남한산성 수비), 금위영(숙종, 한성 수비)

이 5군영이 훗날 임오군란(1882)때 별기군(일본식 신식부대)과 충돌

 

**속오군 : 노비~양반. 예비군.

 

 

 

 

승려들 (<-> 정도전 <불씨잡변>)

 

1. 신라 승려

원광 : 세속오계, 걸사표

자장 : 통일신라 선덕여왕에게 황룡사 구층 목탑 건립 건의 (*고려 원나라에 의해 소실)

원효 : <대승기신론소>, 불교 대중화, 일심사상 주장, <십문화쟁론>, 아미타, 무애가

의상 : 부석사 창건, 화엄사상, <화엄일승법계도>, 관음신앙

도선 : 풍수지리설

혜초 : <왕오천축국전>

설총 : <화왕계>, 이두정리

 

선종 유행  실천수행 → 참선중시, 9산선문 성립

 

 

2. 고려전기 승려

각훈 : <해동고승전> (고려 고종)

균여 : <보헌십원가>, 불교 대중화, 균여의 화엄종 성행(귀법사)

의천 : 교관겸수 (실천 중시), 천태종 (국청사), 교종중심 선종 통합, 불교 경전에 대한 주석서 <교장> 

일연 : <삼국유사> (군위 인각사)

 

3. 고려후기 승려

지눌 : <권수정혜 결사문> (순천 송광사), 정혜쌍수, 돈오점수 주장, 수선사 결사제창

혜심 : 유불 일치설 주장 성리학 수용 사상적 토대 마련

요세 : 참회 중시하는 법화신앙 바탕에 둔 백련 결사 제창 (강진 만덕사)

 

 

 

 

 

 

 

 

반응형